2022. 인성교육 학부모 연수 |
|||||
---|---|---|---|---|---|
작성자 | 고정선 | 등록일 | 22.12.12 | 조회수 | 136 |
첨부파일 |
|
||||
학부모님, 안녕하십니까? 가족 간의 대화를 통해 서로를 공감하고, 배려와 나눔의 마음을 키워 타인과의 관계에 필요한 기본적인 인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통해 아이들이 성장할 길을 보여주는 학부모님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아이들과 마음의 대화를 시작해 보시면 어떨까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법 부모와 자녀 간의 적극적인 관계 형성을 위한 고민 상담 및 대화를 통해 자녀의 바른 성장을 위해 노력합니다. 1) 적극적 경청(자녀를 인정, 말하기를 절제, 겸손하게 응답, 온몸으로 응답) 적극적 경청이란 다른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하는 과정입니다. 사람들은 자기 말을 누군가가 귀 기울여 듣고 있다고 느낄 때 심리적, 언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해집니다. 즉 상대방의 의견에 귀 기울여주고 관심을 가지면 서로 간의 관계는 적극적으로 이루어집니다. 2) 자녀와의 대화를 방해하는 12가지 걸림돌 가) 명령, 지시, 강요 나) 주의, 협박, 경고 다) 도덕적 훈시, 설교 라) 충고, 제안이나 해결 마) 가르침, 논리적 설득 바) 판단, 비판, 비난 사) 칭찬, 부추김 아) 욕설, 조소, 창피 주기 자) 해석, 진단, 심리분석 차) 안심시키기 카) 캐묻기, 심문 타) 빈정대기, 돌려 묻기, 후퇴 3) 적극적 경청을 향상시키는 법 가) 적극적 경청을 사용하는 시기를 알아야 합니다. 나) 적극적 경청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알아야 합니다. 다) 적극적 경청은 연습을 통해 잘 할 수 있는 능력이 생깁니다. 라) 너무 빨리 포기하지 말아야 합니다. 마) 자녀에게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기회를 주세요. 바) 적극적 경청이 처음에는 인위적으로 느껴진다는 것을 받아들입니다. 사) 다른 경청 기술의 활용: 소극적 경청, 인정하는 마음, 마음을 여는 언어 등 아) 자녀가 필요로 하면, 그때 정보를 줍니다. 자) 적극적 경청이 자녀들을 괴롭히거나 강요하는 것이 되지 않게 합니다. 차) 자녀들이 부모님이 원하는 해결책에 도달하기를 기대하지 않습니다. 빨리 가게 하고 싶으면 혼자 가라 하고 멀리 가게 하고 싶으면 함께 가라 하였습니다. 가정에서도 소중한 자녀들이 바른 인성을 갖춘 어린이로 자랄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 부탁드립니다. ♠ 자녀의 올바른 인성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
이전글 | 제3기 울산광역시교육청 청렴시민감사관 공개모집 공고 안내 |
---|---|
다음글 | 2022.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안내 |